개발자는신이야
The first step
개발자는신이야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14)
    • 🍃웹개발 Spring (15)
    • ❓내 질문 (4)
    • 🔥웹개발종합반 (11)
    • 💻개인프로젝트 (5)
    • 😕error (2)
    • 💡알고리즘 (3)
    • 📖혼자공부하는자바 (22)
    • 📑WIL (2)
    • 🥸 CS 면접 스터디 (13)
    • 🤓천재교육 풀스택 1기 노트 (21)
    • ⏰정처기 공부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dependencies
  • HTML
  • CRUD
  • Spring
  • database
  • IntelliJ
  • db
  • API
  • style
  • jquery
  • repository
  • 기초
  • Java
  • SQL
  • 변수
  • Lombok
  • Controller
  • JPA
  • CSS
  • boot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개발자는신이야

The first step

7.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카테고리 없음

7.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2023. 9. 25. 22:29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는 인터넷에 있는 많은 자원들을 구별하기 위한 문자열이다.

 

웹 사이트는 각자만의 고유의 IP가 있다.

사용자는 해당 IP로 웹 사이트의 자원에 접근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모든 IP 주소를 기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래서 문자열로 된 URI를 만들어서 사용하게 되었다.

 

URI의 개념

  • URI는 자원이 어디 있는지 식별하는 통합된 방법이다.
  • URI는 URL, URN을 포함하고 있다.
    https://velog.io/@kimdukbae/URI-URL-URN
  • URL은 통합 자원 위치로 네트워크 상에서 자원이 어디 있는지 알려 주는 문자열이다.
  • URL의 기본 형태는 스키마://호스트/경로로 이루어져 있다.
  • URL만으로 웹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다.
  • URN은 통합 자원 이름으로 하나의 자원에 대하여 위치, 스키마, 호스트에 상관없이 각각의 자원에 이름을 부여한 것이다.
  • URN은 자원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는 명시하지 않는다.
  • URN은 실제 자원을 찾기 위해서는 URL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 URN의 시본 형태는 urn:이름 공간 식별자:이름공간에 대한 특별 문자열 이다.

 

구조

이름 설명
스키마 사용자와 자원 사이의 통신 규칙을 나타낸다.
호스트 IP 혹은 도메인으로 자원의 주소를 나타낸다.
포트 포트번호이다. 하나의 컴퓨터 안에 여러 개의 서버가 있을 때 어떤 서버와 통신할지 나타는대. 웹 서버는 매우 유명한 서버이기에 웹 서버에서는 80번 포트를 사용한다는 무언의 규칙이 있어 생략이 가능하다.
경로(URL Path) 자원의 경로를 나타낸다.
쿼리 스트링(Query String) 주소 뒤에 덧붙여 추가적인 정보를 서버 측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어떤 자원을 원하는지 알려준다.

 

URI를 사용하는 이유

URL은 수많은 자료가 있는 인터넷에서 정확하고 편리하게 자원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URL 방식은 고유한 위치에 대응하는 자료가 없어지거나 이용할 수 없을 경우 검색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잃어버리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URN이 만들어졌고, 이 둘을 합친 개념이 URI이다.

 

현재는 물리적으로 자원의 정보가 바뀌어도 고유의 데이터가 유지되며 자원의 식별도 가능한 URI를 사용한다.

    개발자는신이야
    개발자는신이야
    첫발을 내디딘 초보 개발자입니다.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