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IP와 IP 주소는 차이가 있다.
IP: 인터넷에서 컴퓨터의 위치를 찾아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켜야 하는 규약
IP 주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의 주소
개념
1. IP
IP 주소는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주소로, 사람의 집 주소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컴퓨터도 다른 컴퓨터에 접근할 때 주소가 필요한데, 이것을 IP 주소라고 부른다.
인터넷 주소창에 223.130.200.104를 입력하면 네이버가 들어가진다.
2. DNS
하지만 우리는 네이버에 접속하기 위해 해당 아이피를 입력하지 않고 네이버의 주소인 www.naver.com을 사용한다.
주소에서 www를 제외한 naver.com은 도메인이라고 부른다.
도메인 앞에 붙어있는 www는 호스트 이름이며, cafe.naver.com, mail.naver.com 등과 같이
각각의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일이 IP 주소를 외우는 것은 어려우므로 naver.com이라는 도메인을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때 DNS가 도메인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해주는 것이고, 그로 인해 사용자가 도메인으로 편하게 접속이 가능한 것이다.
특징
고정 IP와 유동 IP
고정 IP: 변하지 않는 고정된 IP이다.
예를 들어 네이버 사이트는 항상 일정한 주소를 사용해야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IP를 사용한다.
유동 IP: 계속 변하는 IP를 의미한다.
IP를 고정적으로 부여하지 않고 남아있는 IP 중에서 부여되는 IP이다.
IPv4의 경우에는 개수의 한계가 있어 개인마다 고정 IP를 할당하면 IP가 부족해지게 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신 사업체(SKT, KT, LG)는 특정 범위 내에서 IP를 할당하며 사용 중이지 않은 IP를 할당해 준다.
공인 IP와 사설 IP
공인 IP는 전 세계에서 유일한 IP이다.
외부에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다.
사설 IP는 개인이나 특정 기관에서 임의로 만들어 사용하는 IP주소이다.
사정집이나 회사는 공유기를 사용할 때 하나의 공인 IP 안에 사설 IP를 부여하여 사용한다.
IPv4, IPv6
IPv4와 IPv6는 IP주소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xxx.xxx.xxx.xxx형식의 IP 주소는 IPv4이다.
점으로 구문하고 0~255까지의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IPv4는 34bit 체계이며, 8bit씩 4개가 모여있다. 8bit가 모여있는 것을 옥텟이라고 표현한다.
IPv4는 약 43억 개 정도의 IP주소를 나타낼 수 있지만 전 세계 사람들이 모두 사용하기에는 부족하다.
이를 위해 나타난 것이 IPv6 방식이며 IPv6는 128bit 체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16비트씩 8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16진수로 표현한다.
1000:2411:aaab:ffee:0000:0000:ffff:4444 형식의 주소가 IPv6주소이다.
IPv6는 2의 128승만큼의 주소를 가질 수 있어 거의 무한대로 나타낼 수 있다.
현재는 IPv4가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IPv6도 병행하여 사용되고 있다.
DNS의 동작 원리
- 컴퓨터에 있는 Local DNS 서버를 확인하여 입력한 도메인과 IP를 가졌는지 확인한다.
- 만약 가지고 있다면 바로 컴퓨터에 IP를 반환하고, 없는 경우 Root DNS 서버에 방문하여 이 도메인의 IP를 어디서 찾을 수 있는지 물어본다.
- Root DNS 서버는. com으로 끝나는 도메인을 관리하는 서버의 IP주소를 반환해 준다.
- LocalDNS 서버는. com을 관리하는 서버를 방문한다.
- 이 서버는 naver.com의 도메인 정보를 가진 DNS 서버의 IP 주소를 반환해 준다.
- 마지막으로 naver.com 도메인을 담당하는 서버에 방문하면
- 해당하는 IP 주소를 Local DNS 서버에 반환해 주고
- 이어서 브라우저에 반환해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