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in
![[Spring] JPA심화 (CRUD)_2, SpringBoot 서비스 구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Dnb3g%2FbtrNbcyULzk%2FAAAAAAAAAAAAAAAAAAAAADNFfeSfqJ5RUFGSpLfbz8oAlHnUzWPz_l_hf6-ujK1X%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TDgFD56%252BqaGMKREoNg2DgQUVlzo%253D)
[Spring] JPA심화 (CRUD)_2, SpringBoot 서비스 구조
JPA로 CRUD중 Uplaod를 할려면 Service의 개념을 알아야한다. (Create, Read, Delete는 Repository만으로 구현 가능) . . 스프링의 구조는 총 3가지의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DAO) 사이사이의 DTO, Domain(Entity)은 정보를 전달해주는 매개체이다 스프링의 구조에 대하여 Controller: 0. 가장 바깥부분, 요청/응답을 처리한다. 1. 클라이언트(사이트)에서 입력되는 정보들을 받아와 해당 정보들이 어떤 용도로 사용되는지 찾아낸다. 2. 찾아낸 정보들을 용도에 맞는 Service로 보내준다. Service: 0. 중간 부분, 실제 중요한 작동이 많이 일어나는 부분이다. 1. Client(사이..
![[Spring] JPA 기초(Domain, Repository)](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a%2FbHoNo8%2FbtrNbcLSJtO%2FAAAAAAAAAAAAAAAAAAAAAFkCvqWdHmvbx7oDoH9qLZlJMjJdkpEOXFmfNBneDiqP%2Fimg.png%3Fcredential%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26expires%3D1756652399%26allow_ip%3D%26allow_referer%3D%26signature%3DhX%252FMuNhXIt2d%252BvdLH3cC3bCP4%252Fs%253D)
[Spring] JPA 기초(Domain, Repository)
JPA는 JAVA로 Database를 사용하도록 도와주는 친구이다. 따라서 DB를 이용하는데 핵심인 "테이블"과 "SQL"의 같은 개념의 자바 용어가 있다. "테이블"은 JAVA에서 Domain "SQL"은 JAVA에서 Repository 로 쓰인다. Domain과 Repository의 사용법 1. src > main > java > com.filename에 domain이라는 패키지(폴더)를 만든다. 2. ClassName.java, ClassNameRepository.java 클래스를 damain 안에 생성한다. 3.ClassName.java는 테이블 역할은 하는 Domain으로 사용될 녀석이다. @NoArgsConstructor // 기본생성자를 대신 생성해줍니다.(setter) @Entit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