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는신이야
The first step
개발자는신이야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114)
    • 🍃웹개발 Spring (15)
    • ❓내 질문 (4)
    • 🔥웹개발종합반 (11)
    • 💻개인프로젝트 (5)
    • 😕error (2)
    • 💡알고리즘 (3)
    • 📖혼자공부하는자바 (22)
    • 📑WIL (2)
    • 🥸 CS 면접 스터디 (13)
    • 🤓천재교육 풀스택 1기 노트 (21)
    • ⏰정처기 공부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HTML
  • JPA
  • database
  • IntelliJ
  • boot
  • CRUD
  • 변수
  • 기초
  • dependencies
  • Controller
  • Java
  • repository
  • SQL
  • jquery
  • style
  • Spring
  • API
  • CSS
  • Lombok
  • db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개발자는신이야

The first step

🤓천재교육 풀스택 1기 노트

천재교육 풀스택 과정 1기 Day15

2023. 5. 31. 17:53

Inner Class(중첩 클래스, 중첩 인터페이스, 내부 클래스)

  • 인스턴스 내부 클래스
  • 특정 클래스와 관계를 맺는 경우에 내부에 선언하고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장점
    • 1. 클래스 변수들끼리 서로 쉽게 접근이 가능
    • 2. 코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Static Inner Class

  • 지역 내부 클래스
  • 익명 내부 클래스 (무명 내부 클래스)
    • 이름이 없는 객체
    • 익명 객체는 단독으로 생성하지 못한다.
    • 클래스이거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여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 필드의 포기값, 지역 변수의 초기값, 매개변수의 초기값 등에 주로 사용
    •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내부 클래스

 Exception(예외(오류) 처리): 돌발상황에 대비하여 미리 준비하여 두는 것.

논리적인 오류: 프로그래머의 논리적 사고가 잘못된 경우

신텍스(문법) 오류: Java 문법상의 오류

기계적 오류: 하드웨어, 스프트웨어(OS, 개발 툴 등)의 버그

개발 환경 오류: 버전(모듈) 불일치, 서버 SW와 클라이언트 SW상의 오류

예외 상황 오류: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 발생 오류

try {
    //여기에 문제가 발생할 소지가 있는 코드를 작성
} catch (Exception e) {
    //여기는 오류 발생 시 대처(수습)하는 코드를 작성
    e.printStackTrace();
}finally {
    //여기는 정상, 비정상 여부와 관계없이 실행하는 코드를 작성
}

 

예외와 에러의 차이

  • 예외: 불가항력적인 성향이 많음
  • 에러: 코드로 프로그래머가 수정이 가능함 <- 말해준 거랑 책 내용이랑 다른데?

'🤓천재교육 풀스택 1기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재교육 풀스택과정 1기 DAY17  (0) 2023.06.05
천재교육 풀스택 1기 DAY16  (0) 2023.06.01
천재교육 풀스택 과정 1기 Day13  (0) 2023.05.26
천재교육 풀스택 과정 1기 Day12  (0) 2023.05.25
천재교육 풀스택 과정 1기 Day11  (1) 2023.05.24
    '🤓천재교육 풀스택 1기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천재교육 풀스택과정 1기 DAY17
    • 천재교육 풀스택 1기 DAY16
    • 천재교육 풀스택 과정 1기 Day13
    • 천재교육 풀스택 과정 1기 Day12
    개발자는신이야
    개발자는신이야
    첫발을 내디딘 초보 개발자입니다.

    티스토리툴바